노벨 생리의학상, 美케일린 등 3명…"세포의 산소이용 연구"

최정호 기자 최정호 기자 / 기사승인 : 2019-10-08 06:34:16
  • -
  • +
  • 인쇄
美 서멘자·英 랫클리프 공동수상…"빈혈·암 등 새 치료법 단서 제시"
케일린, 다음달 용산서 열리는 대한종양내과학회서 강연 예정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왼쪽부터 서멘자(美), 랫클리프(英), 케일린(美)

[노벨위원회 웹사이트 갈무리]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의 산소 이용 방식을 연구한 미국의 윌리엄 케일린(61) 그레그 서멘자(63), 영국의 피터 랫클리프(65) 3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노벨위원회는 7(현지시간) 산소 농도에 따른 세포의 적응 기전을 밝혀낸 공로를 인정해 이들 3명을 2019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케일린과 서멘자는 각각 하버드의대와 존스홉킨스의대 소속이며, 랫클리프는 옥스퍼드대학에 몸담고 있다.

 

  이들 3명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혀내 빈혈과 혈중 산소농도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평가했다.

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에 'HIF-1'이란 단백질(유전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세포가 산소농도 변화에 적절하게 반응할 있게 하는 '스위치'(molecular switch) 무엇인지 규명한 것이라고 카롤린스카 연구소는 설명했다.

 

 

  수상자 케일린은 취재진과 전화 통화에서 "나를 비롯해 수상자들은 HIF 단백질 조절을 새로운 (치료) 실마리로 제시한 "이라며, 그러한 신약 후보물질이 개발단계에 있다고 소개했다예를 들어 혈중 산소가 부족한 빈혈의 경우 단순히 철분을 공급하는 종전 약물과 완전히 달리 HIF 단백질 양을 늘려 산소 활용도를 높이는 새로운 치료법을 모색할 있다는 것이다반대로 암세포에서는 HIF 억제함으로써 암세포 증식을 막는 효과를 기대해볼 있다.

 

  케일린 등은 2016 '미국의 노벨상' 또는 '예비 노벨상'으로 불리는 래스커상을 수상해 그동안 노벨 생리의학상의 유력한 후보군으로 자주 거론됐다수상자로 선정된 3 케일린은 다음달 7~8 서울 용산의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리는 2019 대한종양내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 강연자로 참석할 예정이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900만크로나( 10 9천만원) 주어진다시상식은 알프레드 노벨 추모일인 12 10 스톡홀름에서 열린다.

(연합뉴스 기사 전문)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정호 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PHOTO NEWS

많이 본 기사

사회

+

종교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