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오전 국회에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시정연설을 하고 있다. |
국회가 내년도 예산안 심사에 본격 착수했다.
국회는 22일 오전 열린 문재인 대통령의 내년도 예산안 관련 시정연설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예산심사에 들어간다. 내년도 예산 규모는 513조5천억원으로, 첫 500조를 넘긴 '슈퍼 예산'으로 불린다.
내년도 예산 심사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특위)와 각 상임위원회의 투트랙으로 진행된다.
예결특위는 22일 예산안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는 공청회를 시작으로 예산 심의에 들ㅇ가 오는 28∼29일 종합정책질의, 30일과 11월 4일 경제부처 예산 심사, 11월 5∼6일에는 비경제부처 예산심사를 벌인다. 심사에 따라 감액 혹은 증액을 심사하는 예산안조정소위(예산소위)는 11월 11일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 예결위 간사는 오는 11월 29일 예결위 전체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을 의결할 방침이다.
다만, 정부의 재정확장 여부에 대해 민생과 개혁과제 추진을 위한 것이냐, 총선을 대비한 선심성 예산이냐 등 대립이 첨예하게 이어지고 있어 치열한 공방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날 오전 문 대통령의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에서 여야가 정반대 평가를 내놓으면서 내년 예산안 심사도 순탄치 않을 것이 예고됐다.
이 중 남북협력기금이 올해보다 10.3% 증가한 1조2200억원으로 책정된 것과 일자리 예산이 올해보다 21.3% 증가한 25조7697억원이 책정된 것을 두고 여야가 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은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추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위해 과감한 재정 투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예산을 지켜내려 할 반면, 한국당은 북한 태도를 문제삼으며 대북 퍼주기를 지적하고 현재 일자리 창출은 단기 아르바이트만 양성하고 있다며 삭감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내년도 예산안의 본회의 처리 법정시한은 12월2일이다.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