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디디추싱 홈페이지 갈무리. |
[아시아뉴스 = 최진승 선임기자] 최근 중국 정부는 플랫폼 규제 대상을 차량호출 및 운송 서비스 업체로 옮긴 후, 일부 업체들이 과도한 수입을 위해 운전기사들의 수입을 옥죄고 있다며, 사납금 구조를 개편하라고 지시했다.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은 20일 최근 국무원 상무위원회가 '신취업 형태 노동자 노동 보장 권익에 관한 지도 의견'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차량호출 및 운송 서비스 기사들에 대한 처우 개선 방안 등을 마련하라고 말했다.
이에 인력자원사회보장부 유쥔 부부장은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상해 보장이 불충분한 데 이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겠다"고 답했다.
같은 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사람들은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를 저격하며, 노동자의 몫을 회사가 뺏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교통운수부 운수서비스사 리화창 부사장은 "공제율(사납금)을 높게 책정하거나, 기사의 초과 노동을 부추기는 문제에 대해 대책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앞선 지난 5월 중국의 대표적인 차량호출 및 운송 서비스업체 디디추싱을 비롯한 10개사를 소집해 쓴소리를 하고, 시정을 요구했다.
이에 당시 디디추싱은 운임수입에 대해 100% 중 기사가 79.1%를 가져가고, 회사가 20.9% 가져간다며, 그 중 회사 수익 20.9%중 10.9%는 소비자 보조금으로 쓰고, 6.9%는 회사 경비로 사용해 결국 회사 수익은 3.1%라고 중국 정부에 해명했다.
그런데 일부 기사들의 입에서 실제 공제율이 30%가 넘어가는 일이 대부분이었다는 주장이 나오자 중국 당국이 나선 것이다.
한편 디디추싱이 미국 증시에 상장되자 중국 정부는 차량호출 서비스 업체들에 대해 점점 더 강도 높은 규제를 시작했다.
지난 7월2일에는 국가데이터를 보호한다는 이유로 디디추싱을 검사하기 시작했다. 이어 이틀 뒤 중국 당국은 디디추싱 앱이 불법 개인 정보를 수집했다고 하며, 중국 내 앱 스토어에서 디디추싱 앱을 삭제하도록 조치했다.
또한 16일에는 각 정부 부처 및 인터넷 정보협회 등 7개 부문이 합동하여, 디디추싱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에 착수한 바 있다.
최초에는 디디추싱을 압박하기 위한 규제였다. 하지만 어느새 차량호출 및 운송 서비스 업체 전반으로 규제 확대를 하고있는 모습이다.
현재는 매출과 수익구조 등에도 중국 정부가 관여하며, 기업의 이익 통제에 나섰다.
이 소식이 알려진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디디추싱 주가는 9.09% 급락 마감했다.
최진승 기자 jschoi@asianews.news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