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관계 악화 지속 ‘득 보다 실’
 |
▲ 사진 = 게티이미지. |
[아시아뉴스 = (베이징) 장신신 기자] 중국과 호주의 관계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동맹국인 호주가 대중국 견제 수위를 높이면서다. 이에 중국은 호주와 전략경제대화 중단을 선언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7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경제계획 총괄부처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이하 발개위)는 성명을 통해 호주 정부의 중국에 대한 냉전 사고를 비난하면서 ‘중국·호주 전략 경제대화’의 무기한 중단을 선언했다.
발개위는 “최근 호주 정부의 일부 인사가 냉전 사고와 편견적인 태도를 보이며 양국 간 정상적인 교류와 협력을 해치는 조치를 한 것”이라며 “호주 정부가 양국 협력과 관련해 보인 이런 태도를 고려해 호주 정부와 함께 주도한 전략경제대화의 모든 활동을 무기한 중단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외교부 역시 이번 조치는 정당한 대응이라면서 모든 책임은 호주에 있다고 힘을 실어줬다.
주요 매체들은 이번 조치는 호주 정부가 중국 기업에 빌려줬던 항구에 대해 국가 안보를 이유로 재검토에 착수하는 등 대중국 제재를 강화한 데 따른 중국의 반격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글로벌 타임스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중국 정부가 호주 정부에 보내는 강력한 정치적 메시지다. 호주 정부의 일방적인 일대일로 사업 폐기에 따른 중국의 실질적이고 단호한 대응인 것이다. 이로 인해 양국은 무역 등 최대 위기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 업계 전문가는 “양국 관계 악화는 중국으로서도 득이 될 게 없을 것으로 보이며, 양국이 비밀리에 접촉을 할 가능성도 있다”라며 “중국은 철광석, 석탄 등 에너지와 밀, 보리 등 농축산물 등을 주로 수입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중국의 대호주 수입액은 1452억 호주 달러(한화 약 127조원)에 달한다. 양국 갈등이 본격화되면서 수입액이 전년 대비 2.15% 감소했지만 교역 규모는 여전히 큰 규모다.
한편, 호주 국방부는 최근 다윈항의 장기 임대에 대한 재검토에 나섰다. 이 항구는 2015년 중국 기업 랜드브리지에 99년 만기로 임대된 것이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국방부, 국가안보 기관의 의견을 받아 항구 소유권과 관련한 호주 정부의 조치를 결정하겠다고 예고했다.
장신신 기자 kiraz0123@asianews.news
[저작권자ⓒ 뉴스타임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